본문 바로가기

한국교회사/선교역사

스크랜튼의 집안 배경

월리엄 벤튼 스크랜튼(William Benton Scranton)은 1856년 5월 29일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출생하였는데 아버지(William Falcott Scranton)는 오래전 뉴잉글랜드에 정착한 영국 이민 후예로 뉴헤이븐에서 제조업을 하던 평범한 사업가였다. 반면 어머니(Mary Fletcher Benton, 1832-1909)는 미국 메사추세츠의 전통 있는 감리교 ‘벤튼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Erastus Benton)와 동생, 조카도 감리교회 목사였다. 이런 목사 집안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일찍부터 목회와 선교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뉴헤이븐의 스크랜튼과 결혼하여 평범한 가정주부로 지내다가 1872년 남편과 사별하였다.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스크랜튼은 홉킨스중학교를 거쳐 뉴헤이븐의 명문인 예일대학을 1878년에 졸업했는데 미국 대통령 태프트(W.H. Taft)가 그와 동기 동창이었다.

이후 뉴욕 의과대학(후의 컬럼비아의과대학)에 진학하여 1882년 졸업하였는데 그 해 미국의 유명한 회중교회 지도자이자 예일대학 이사인 암즈(Hiram P. Arms)의 손녀딸(Loulie W. Arms)과 결혼하였다. 스크랜튼은 결혼 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로 옮겨 의사로서 활동하다가 2년만인 1884년 12월 선교사로 임명을 받고 한국으로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스크랜튼의 선교 결심을 이끌어낸 인물은 그 어머니였다. 어머니는 결혼 전부터 해외선교에 관심이 깊었고 결혼 후 뉴헤이븐에 있을 때 해외여선교부 연회 서기로 활약하였으며 아들과 함께 뉴욕으로 갔을 때도 뉴클리드교회에 출석하며 선교사역에 참여하였다. 결혼한 아들과 함께 클리블랜드로 옮긴 후에는 유클리드 애비뉴교회에 출석하였는데 해외선교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였다. 바로 그 무렵 한국이 비로소 문을 열고 선교사들을 받아들이기로 했다는 소식이 클리블랜드의 스크랜튼 가족에게 전달되었다.

아시아의 마지막 ‘은둔국’ 한국이 서방에 대해 문을 연 것은 1882년 미국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면서부터였다. 1883년 5월 초대 주한 미국공사 푸트가 내한했고 그 답례로 7월 민영익을 수반으로 한 외교사절단이 미국을 방문,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고종의 친서를 전달하였다.

그런데 외교 사절단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워싱턴까지 타고 가던 기차에 미감리회 볼티모어연회의 가우처(J.F. Goucher) 박사도 타고 있었다. 아시아 선교에 관심이 깊었던 가우처 박사는 국왕의 조카인 사절단장(민영익)과 대화하는 중에 한국 선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곧바로 해외선교부에 2천 달러를 보내며 한국선교 개척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친분이 깊은 일본주재 선교사 매클레이(R.S. Maclay)에게 “한국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라.”는 편지를 보냈다.

이에 매클레이는 1884년 6월 24일 내한하여 미국 공사관을 통해 한국 정부에 선교 가능성을 문의한 결과, 당시 외교 협판으로 있던 김옥균을 통해 “미국인들이 들어와 학교와 병원 사업을 해도 된다.” 고종의 ‘윤허’를 받을 수 있었다.

이에 미감리회 해외선교부는 곧바로 학교와 병원 사역을 할 선교사 선발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