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바벨론 제국의 2대 왕
초대왕 나보폴라살의 아들
신바벨론 제국의 초대 왕 나보폴라살을 뒤 이은 신바벨론의 2대 왕이다(BC 605-562).
갈그미스 전투에서 애굽의 바로 느고를 격퇴하여 애굽 하수에서부터 유브라데 하수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지배하였다(왕하 24:7; 렘 46:2-12).
그는 수리아, 모압, 암몬 등 근동 지역을 정복한 후(BC 582) 포로들을 잡아가 대대적인
건축 사역을 시켰다. 새 왕궁을 건축하고 큰 도로를 건설했으며 대성벽을 구축하고 성문도
만들었다. 느부갓네살에 의해 세워진 이시타르 성문은 지금까지 유적으로 남아 있다.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운하와 여러 개의 댐을 수축했는데 수도뿐 아니라 여러 도시들에도 많은
건축 사업을 이루었으며 특히 바벨론 신들을 위한 신전을 많이 세웠다. 44년 간 나라를
다스렸고 아들 에윌므로닥이 왕위를 계승했다(왕하 25:27).
이스라엘에 대한 느부갓네살의 정책
: 이스라엘을 침략하여 속국으로 만들고(왕하 24:7) 조공을 받았으나 여호야김 왕이
친애굽 정책을 펴자 이스라엘을 다시 침략하여(왕하 24:1; 단 1:1) 여호야김 왕과 왕족과
귀족들을 포로로 잡아 갔다(BC 605, 단 1:2-4).
이때 느부갓네살은 하나님의 전에 있는 성물들도 약탈하여 그들 신의 보고에 두었으며
(단 1:2) 여호야김을 뒤 이은 여호야긴 왕이 재위한 지 석 달만에 예루살렘을 다시
침공하여 여호야긴 왕과 왕족, 귀족들을 포로로 잡아갔다(BC 597, 왕하 24:8-12).
성전의 보물과 왕궁의 보물(왕하 24:13)과 백성과 방백, 용사를 합하여 1만 명을 포로로
끌고 갔으며 공장과 대장장이들도 잡아갔다(왕하 24:14). 유다 땅에는 여호야긴을
대신하여 그의 숙부 맛다니야를 왕으로 삼고 그 이름을 시드기야로 개명하였다
(왕하 24:17).
그러나 시드기야도 반바벨론 정책을 펴고 친애굽 정책을 펴자(왕하 24:20; 렘 27:1-22;
겔 17:1-21) 느부갓네살은 예루살렘을 다시 공격하여 함락시켰다(BC 596,
왕하 25:1-21). 이때 시드기야를 잡아 눈을 뽑고 바벨론으로 데리고 갔으며 그의
아들들을 모두 죽였다(왕하 25:7). 느부갓네살의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단은 성전 기명들을
약탈하고 성전과 왕궁을 불살랐으며 예루살렘 성벽을 헐고 백성들을 포로로 잡아갔다
(왕하 25:8-12).
이스라엘 포로에 대한 느부갓네살의 정책
: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다니엘(벨드사살), 하나냐(사드락), 미사엘(메삭), 아사랴(아벳느고)
등과 같은 왕족과 귀족에게 바벨론식 교육을 시켜 왕을 위해 일하도록 하였다(단 1:3-5).
하나님의 말씀을 좇아 친바벨론적인 메시지를 전한 예레미야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태도를
취했다(렘 39:11-14). 느부갓네살은 꿈을 꾼 후 갈대아의 박수와 술객, 점장이, 술사들을
불러 그 꿈을 알고자 했지만 알 수가 없었다(단 2:1-13).
그때 하나님께 기도하여 그 꿈의 내용을 알게 된 다니엘에 의해 꿈의 해석을 듣게 되었다
(단 2:31-45). 그 후 느부갓네살은 두라 평지에 금으로 신상을 만들어 모든 백성에게
절하도록 하였고(단 3:1-5) 금신상에 절하지 않는 사람은 풀무불에 던져넣겠다는 법령을
공포했다(단 3:6).
다니엘의 세 친구인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가 금신상에 절하지 않자 이들을 풀무불에
던져넣었으나(단 3:12-23), 불에 타지 않은 것을 보자 세 사람을 불러내고 하나님을
찬송하였다(단 3:24-28). 그리고 조서를 내려 하나님을 모욕하는 사람들을 죽이라고
명하였으며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지위를 높여주었다(단 3:29-30).
느부갓네살은 두 번째 꿈을 꾸었을 때도 다니엘에게 해몽하게 했다(단 4:4-27).
그 꿈대로(단 4:16) 느부갓네살은 왕의 자리에서 쫓겨나 7년 동안 들짐승과 함께 거하며
소처럼 풀을 먹는 병에 걸리게 되었다(단 4:32). 7년의 시간이 지나 제정신으로 돌아온
느부갓네살은 하나님께 감사하며 찬양하였고 하나님의 권세와 능력을 인정하였다
(단 4:34).
'성경 > 구약시대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니게(Phoenicia)=페니키아(Phoenicia/라틴어,포에니) *두로(티레)와 시돈 (0) | 2014.11.11 |
---|---|
메데 왕 다리오와 바사 왕 고레스와의 관계 (0) | 2014.11.08 |